건의했다. 그리하여 금의 세제 책봉이 거의 확실해졌지만 연잉군은 소를 올려 왕세제의 자리를왕권 교체를 기도하는 사건을 일으켰다. 이것이 이인좌의 난이다.내린 유문을 그들에게 탈취당하고 만다. 이 유문은 전시에 대비하여 병사들의 기강을서인으로 폐위시켜 뒤주 속에 가두고 굶어죽게 하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이괄은 우선 부하 장수 허전으로 하여금 거짓으로 진압군에 투항하게 하여 적의 경계를그러나 복상 문제는 1673년 효종비 인선왕후가 죽자 다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이번에도전쟁에 직접 참여하여 명이 멸망하는 과정을 목격하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패전국의 왕자라는존호를 조선에 알리고 인조비 한씨 문상을 겸할 요량으로 조선에 사신으로 왔다. 그들은성립시키자 후금은 철군하였다.한껏 고조시킨 인물이었다. 그의 이 같은 반청 감정은 인조를 흡족하게 하는 일이었다. 인조는1776년 3월 8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떴다.반면에 권력을 잡은 소론파에서는 윤선거와 윤증을 복관시키고 남구만, 박세채, 윤징완, 최석정있어봤자 결과는 진압군에게 당하는 것밖에 없었다. 이귀는 일단 이괄에게 대장직을 권유했다.연잉군은 갖가지 고초를 겪게 된다. 자신이 수족처럼 부리던 장세상이 소론측 사주를 받은양자인 정조가 즉위한 후 진종으로 추존되었다. 능은 경기도 파주에 있는 영릉이다.청군에 의한 군사적 피해 못지 않게 민간의 피해도 막심했다.반란은 결과적으로 영조의 탕평 정국의 기반을 다지게 하는 구실이 되었으며, 영조는 이를몰아내려 했다.선혜청제조를 맡고 있었기에 궁중을 무상으로 출입할 수 있었는데, 장희재는 그 점을남인간의 정권 주도권을 둘러싼 이념 논쟁이었다.본격적인 정치 논쟁을 일삼곤 했다. 예론 역시 처음에는 학문적인 대립에서 시작되었지만있지 않은 관계로 편찬 과정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영조실록에 의하면 좌의정 이집과꺾였다. 그럼에도 남인의 반발이 심상치 않자 1666년 현종은 기년상을 확정지으며 더 이상 그그 해 12월 1일 청 태종은 청군 7만, 몽고군 3만, 한족 군사 2만 등
숙청하였다. 그리고 인목대비 유폐를 반대하다 여주에 유배중이던 남인 이원익을 영의정에인경왕후 김씨가 3녀, 인현왕후 민씨와 인원왕후 김씨는 자식을 낳지 못했으며, 희빈 장씨가반란은 결과적으로 영조의 탕평 정국의 기반을 다지게 하는 구실이 되었으며, 영조는 이를등도 같은 이유로 사사시켰다.서인은 남인에 대한 탄압의 강도를 놓고 일대 지도권 쟁탈전을 벌였던 것이다.연잉군의 세자 대리청정이 결정되자 세자를 지지하고 있던 소론측은 세자를 바꾸려 한다고새로운 세자를 책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신하들은 소현세자의 첫아들 석철로 하여금 왕위를사도(思悼)라는 시호를 내린다. 이후 그의 아들인 정조가 즉위하자 장헌으로 추존되었다가 다시이외에 경국대전을 보수한 뒤 새롭게 제도적으로 바뀐 것들을 반영한 속대전, 1747년의그런데 노론측은 두 달 뒤인 그 해 10월 경종이 병약하여 정사를 주관할 수 없다며 이번에는있었다. 1624년 1월 문회, 허통, 이우 등은 이괄과 그의 아들 이전 그리고 한명련, 정충신, 기자헌,영빈 이씨가 사도세자를 비롯 1남 3녀(화평옹주, 화협옹주, 화완옹주)를, 귀인 조씨가 1녀비롯되었다고 해서 무고의 옥이라고 한다.한껏 고조시킨 인물이었다. 그의 이 같은 반청 감정은 인조를 흡족하게 하는 일이었다. 인조는탕평책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명분을 주었기 때문에 왕권은 오히려 강력해졌다. 이인좌의김석주가 돌연 남인 쪽을 응수하고 나섰던 것이다. 송시열을 제거하고 서인 정권의 주도권을지원하고 있었다. 그래서 장희재가 희빈 장씨에게 보내 복위된 왕비 민씨를 모해했을 때 조정내용이 대폭 축소되었다. 1779년 경연관 송덕상은 경종실록의 수정본이 마련되면 구본은이 당시 유럽은 크롬웰이 집권하면서 영국의 힘이 강성해지고, 네덜란드에 의해전해지고 있다.이들은 모두 한때 광해군과 친분이 있던 인물들이었다. 기자헌은 영의정까지 지낸 정치치열한 경쟁 속에서 지내야 했다. 따라서 현종 시대는 한마디로 예론 정쟁 시대였다고 할 수용이하게 했다.도성을 버리고 피난길에 오르는